겨울철 난방비 절약하고 싶다면? 도시가스 절약캐시백 지금 신청하세요!! (신청기간, 신청방법 알아보기)





오늘은 도시가스 절약캐시백제도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12월에  들어서면서 점차 아침, 저녁으로 영하의 날씨가 시작되고 있는데요. 정부는 겨울철 저소득층과 취약 계층들을 대상으로 난방비를 지원하는 다양한 제도를 시행하고 있지만, 일반 국민들은 혜택을 받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죠. 하지만 도시가스 절약캐시백은 소득이나 재산 조건에 상관없이 누구나 신청하여 혜택을 누릴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신청 방법, 신청 기간, 캐시백 조건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할까요?

도시가스 절약캐시백

도시가스 절약캐시백

에너지절약 보도자료

산업부는 본격적으로 전력 수요가 높아지는 겨울철을 대비하여 에너지를 절약하는 문화를 확산 시키기 위해 난방비를 절약하여 캐시백을 지급 받을 수 있는 도시가스 절약캐시백을 시행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캐시백 단가는 최대 70원/m³ 였지만, 올해는 최대 200원/m³으로 캐시백 지원 단가를 3배 가까이 인상했습니다.

1. 지급액

도시가스 절약캐시백은 전년도 사용량보다 3%이상 가스비를 절약하면 절감량에 따라 50원/m³~200원/m³까지 현금으로 돌려주는 제도입니다. 최대 30%까지 캐시백으로 지원받을 수 있으며 절감율이 높을수록 캐시백 지급단가가 높아집니다.

구분 3%이상 ~ 10%미만 10%이상 ~ 15%미만 15%이상 ~ 30% 이하
캐시백지급단가 50원/m³ 100원/m³ 200원/m³

 

그렇다면 동절기 평균 가스 사용량이 400m³인 경우 얼마나 가스비를 절약할 수 있는지 살펴볼까요?

도시가스 절약캐시백 지급액

사용량을 5%만 절감해도 작년보다 가스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사용량을 20% 절감한 경우 작년 요금과 비교하여 20.4%나 절약할 수 있네요. 사용량을  캐시백 지급액이 그리 큰 것은 아니지만, 가스 사용량을 줄이면서 도시가스 요금도 함께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요금 절감액 + 캐시백을 더하면 꽤 많은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2. 신청기간

주택난방용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가정이라면 누구나 참여가 가능합니다. 신청 기간23년 12월부터 24년 3월까지 이며, 절감 기간 역시 동일합니다.

도시가스 절약캐시백 산정

캐시백은 동절기 4개월 동안 절약한 가스비를 합산하여 정산하는데요. 절감률은 절감량 / 비교기간 사용량으로 계산합니다.
위와 같은 경우는 60/400= 15%를 절감하였으므로 캐시백 지급 단가가 200원으로 책정되어 총 12,000원 (200 ×60) 을 캐시백으로 지급 받을 수 있겠네요.

캐시백은 2024년 5월~6월 동안 절감량을 산정한 후 2024년 7월~8월 경에 장려금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잠깐!!>

12월부터 3월 사용량에 대해 캐시백을 정산합니다. 따라서 고지서를 기준으로 1월(12월 사용량)~ 4월(3월 사용량) 고지서로 절감량을 계산 한다는 점 참고해주세요!!

에너지바우처 동절기신청, 지원단가 2배인상!! 지원대상, 지원기간, 잔액조회 알아보기





3. 신청방법

캐시백 신청 방법은 K-가스캐시백 사이트를 방문해서 회원 가입을 하면 자동으로 신청이 가능합니다.

도시가스 절약캐시백 바로가기

가입 시 고객 식별번호를 입력해야 하는데요. 고객 식별번호는 도시가스 회사마다 확인하는 방법이 다르므로 홈페이지 공지사항에서 도시가스별 고객 식별번호 확인방법을 클릭해서 확인한 후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지금까지 겨울철 가스비를 절약하기 위한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정부는 겨울철 가스비 절약 뿐만 아니라 여름철 냉방비를 절약하기 위한 에너지 캐시백 (전기)제도도 함께 시행하고 있습니다. 여름철 냉방비 절약이 궁금하다면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한전에너지캐시백, 전기료 아끼고, 캐시백 지급받고, 환경도 보호하자! 1석 3조 신청방법, 대상 알아보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