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포스팅에서 자동차 주행거리를 감축하면 마일리지를 적립할 수 있는 자동차탄소포인트제와 에코마일리지 자동차에 대해 소개해 드렸는데요. 오늘은 전기세나 도시가스, 수도세를 절약하면 마일리지를 적립할 수 있는 제도에 대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서울시 에코마일리지 건물
에코 마일리지는 에너지를 절약하면 마일리지를 적립해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제도로, 서울 시민들의 탄소중립 실천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에코 마일리지는 크게 건물과 자동차 두가지로 나뉘는데요. 오늘은 건물 마일리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자동차 마일리지가 궁금하다면 아래 글을 클릭해주세요!!
마일리지 적립
서울시는 서울에 주소지를 둔 가정이나 사업장에서 6개월 단위로 전기나 수도, 도시가스 등의 에너지를 절약하면 에코 마일리지를 지급합니다. 마일리지는 크게 3가지 종류 인데요.
- 정기 마일리지
정기 마일리지는 에너지를 절약한 만큼 인센티브를 제공하는데요. 직전 2년 대비 에너지 사용량을 5%~10% 미만으로 줄이면 1만 마일리지, 15%이상을 절약하면 최대 5만 마일리지까지 지급합니다. 1 마일리지는 1원으로 계산하므로 1만원~5만원을 지급하는 것이죠.
- 지속 마일리지
만약 에너지 절감률이 5% 이하여서 정기 마일리지를 받지 못하더라도 지속 마일리지를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지속 마일리지 대상자가 되려면 이전 참여에서 1년 동안 5% 이상의 에너지를 절약해서 정기 마일리지를 지급 받았던 참여자여야 하는데요.
예를 들어 참여자가 2023년 1월~6월 사용량을 5%이상 절감하고, 2023년 7월~12월 사용량을 5% 이상 절감했다면, 올해 2024년 1월~6월 절감률이 5% 미만이라 하더라도 1만원의 마일리지를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 계절관리제 특별포인트
매년 고농도의 미세먼지가 자주 발생하는 12월~ 3월 (4개월)동안에 에너지를 절약하는 경우는 특별 포인트를 지급하는데요. 12월~3월 동안 직전 2년의 같은 기간 동안 평균 에너지 사용량을 20% 절감하면 1만 마일리지를 추가 지급합니다.
예를 들어 2024년에 특별포인트를 지급받으려면 2022년과 2023년 12월~3월의 평균 사용량보다 20%를 절감하면 되는 것이죠. 포인트는 8월 이후 지급하며 에코마일리지(건물) 등록회원이라면 별도의 신청없이 바로 참여가 가능합니다.
참여방법

참여 방법은 “서울시 에코마일리지”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회원 가입을 한 후 신청하면 됩니다. 에너지 정보를 등록할 때 전기 고객번호는 필수로 등록해야 하며, 수도나 도시가스 고객번호를 추가하여 등록하면 됩니다. 등록을 신청하면 등록 다음달부터 6개월 단위로 절감률을 계산하여 마일리지를 지급합니다.
<여기서 잠깐!!>
마일리지는 가구대표 1인에게만 지급되므로 참여자를 가구 대표로 설정해야 합니다. 에코 마일리지 홈페이지를 통해 설정이 가능하니 아래 방법을 참고해 주세요!!
마치며
지금까지 서울시에서 시행하는 에코마일리지 적립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에코 마일리지 외에도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면 전기세를 할인해 주는 제도가 있는데요.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아래 글을 클릭해주세요!!
탄소중립실천포인트, 연 최대 70,000원 적립 후 현금처럼 사용가능!! (참여방법, 참여기업, 적립단가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