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세, 자동차세 연납 최대 3만원할인받는 방법 (직장인보너스체크카드,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납부)





오늘은 1월 16일부터 1월 31일까지 납부하는 자동차세 연납할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자동차세는 매년 상반기 6월과 하반기 12월로 나누어 2번 납부하는데요. 이를 1월, 3월, 6월, 9월에 한번에 납부(연납)하면 잔여 기간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자동차세를 할인해줍니다. 여기에 더불어 납부 방법에 따라 다양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요. 그럼 지금부터 연납 시기별 자동차세 할인율과 납부 방법에 따른 할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자동차세 연납 할인

자동차세 연납

그럼 먼저 자동차세 연납 할인 비율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납부 시기 할인율
1월 16일~ 31일 4.57%
연세액× 335/366× 5%
공제기간 2월~12월
3월 16일~ 31일 3.76%
연세액× 275/366× 5%
공제기간 4월~12월
6월 16일~ 30일 2.52%
연세액× 184/366× 5%
공제기간 27월~12월
9월 16일~ 31일 1.26%
연세액× 92/366× 5%
공제기간 10월~12월

 

2022년 1월 납부 연납 할인율이 9.15%, 2023년은 6.4%였던 것에 비교하면 2024년 1월 연납 할인율 4.57%로 전년도 대비 할인율이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죠. 아쉽게도 2025년에는 할인율이 2.74%까지 더 줄어든다고 합니다. 하지만 아쉬워 하기는 이릅니다! 자동차세를 할인받을 수 있는 또다른 방법이 있는데요. 바로 결제 방법에 따른 할인입니다. 자동차세를 연납하면 분납에 비해 납부 비용이 높아 대부분 결제 금액이 10만원을 넘는데요. 자동차세를 10만원 이상 한번에 결제하는 경우 다양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결제 수단별 할인 금액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택스 자동차세 납부(연납) 알아보기 (자동차세 조회, 납부방법, 연납신청)

자동차세 할인이벤트

1. KB국민카드 – 직장인보너스 체크카드

직장인보너스 체크카드

먼저 할인 혜택이 가장 큰 KB 국민카드의 직장인보너스 체크카드를 소개하겠습니다. 자동차세 연납 뿐만 아니라 국세나 지방세를 10만원 이상 납부하면 7천원을 환급해줍니다. 또한 체크카드이므로 연회비가 없다는 점 역시 장점이죠.

전월이용실적

국세나 지방세를 환급받기 위해서는 전월 이용실적이 30만원을 넘어야 하는데요. 단, 카드를 신규 발급한다면 60일간은 전월 이용실적이 없더라도 5천원까지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국민카드 체크카드 신규발급 이벤트

여기에 추가로 1월 한달 동안 국민은행 체크카드를 신규발급하면 2만원만 사용해도 2만원 캐시백을 지급하고, 5천원만 사용해도 CU 편의점 5천원 쿠폰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국민카드를 신규 발급받아서 자동차세를 납부하면 최대 3만원 ( 5천원+ 캐시백 2만원+ CU 편의점 쿠폰 5천원) 할인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지금 바로 카드 신규 발급을 신청해보세요!!

국민은행 바로가기

재산세 납부 기간 방법, 재산세 할인 카드 BEST 4

 






2. 카카오페이

카카오페이 할인

카카오 페이로 자동차세를 결제하면 최대 1만원까지 할인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카카오페이 자동차세 할인1

카카오페이 할인혜택2

 

 

 

 

 

 

 

 

 

 

납부하기 전 응모하기 버튼을 클릭해서 이벤트에 응모하고 대상카드 (프렌즈 체크카드, 개인사업자 체크카드)로 10만원 이상 결제하면 참가자 전원이 이마트 5천원 상품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 이벤트를 친구에게 공유하면 추첨을 통해 1천명에게 이마트 상품권 5천원을 추가지급합니다.

3. 네이버페이

 

네이버페이 할인

네이버페이 카드사 무이자 할부

 

 

 

 

 

 

 

 

 

네이버 페이로 자동차세를 10만원 이상 납부하는 경우 1만명을 추첨해서 네이버 페이 포인트 5천점을 지급합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2024년 자동차세 연납할인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최근 물가상승과 고금리로 어려움을 겪는 국민들이 많은데요. 세금 할인혜택을 통해 조금이라도 여유가 생기면 좋겠네요. 이제 곧 제 13월의 월급 연말정산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개정세법에 따른 연말정산에 대해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아래 글을 클릭해주세요!!

2023년 연말정산,개정세법 5가지 알아보기 (기부금, 신용카드, 월세, 소득세감면, 과세표준 변경)

 

 

 

Leave a Comment